카테고리 없음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

건강노트 2025. 6. 24. 11:37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은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최신 미세수술 기법으로, 기존 수술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웠던 중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
health.songdo101.com

 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은 림프부종, 특히 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중증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최신 수술법이다. 림프부종은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팔이나 다리가 붓는 질환으로, 시간이 지나면 심각한 부종, 통증, 발적, 감염, 그리고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. 기존에는 림프 마사지, 압박 붕대 등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며,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.

기존 림프부종 수술법의 한계

대표적인 수술법은 림프관정맥문합술로, 현미경을 이용해 1~2cm의 작은 절개를 통해 지름 0.3mm 내외의 림프관을 정맥에 연결하여 림프액이 정맥으로 빠져나가도록 우회로를 만들어준다. 이 수술은 림프관이 비교적 온전할 때 효과가 크지만, 림프관 자체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진다. 이럴 때는 정상 림프절을 다른 부위에서 채취해 이식하는 림프절 이식술이 시행되지만, 이 역시 한계가 있다.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의 원리와 과정

바이오브릿지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콜라겐 스캐폴더(지지체)로, 지름 0.3~0.4mm의 실 형태이며 콜라겐 다발이 평행하게 정렬된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다. 이 구조 덕분에 인공 림프관의 역할을 하며, 손상된 림프관 부위에 삽입해 림프액의 흐름을 회복시킨다.

수술은 최소 1cm 정도의 절개를 통해 진행된다. 초미세 현미경을 이용해 손상된 림프관에 바이오브릿지를 삽입하여 연결하거나, 림프액이 정맥으로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. 이 과정은 매우 정교하며, 수술 후 림프액의 흐름이 개선되어 부종이 줄고, 환자의 일상 복귀가 빨라진다.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의 특징

  • 고난도 수술: 기존 수술로 치료가 어려운 중증 림프부종 환자에게 적용된다.
  • 최소 침습: 작은 절개와 초미세 현미경 수술로 회복이 빠르다.
  • 인공 림프관 기능: 콜라겐 스캐폴더가 림프액의 흐름을 돕는다.
  • 국내 적용: 부산 좋은문화병원 등에서 국내 최초로 시행되었으며, 김주형 성형외과 과장이 국내 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의 선두주자다.
  • 효과: 수술 환자의 80% 이상에서 부종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,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된다.

적용 대상 및 주의점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은 유방암, 부인암 등 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 림프절 및 림프관이 손상되어 기존 수술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합하다. 수술 후에도 림프 마사지, 압박 스타킹 등 림프 순환을 돕는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.

결론

바이오브릿지 초미세수술은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한 첨단 림프부종 수술로, 국내외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.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,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재활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중요하다. 앞으로 더 많은 임상 경험과 연구를 통해 적응증과 효과가 확대될 전망이다.

  1. https://www.medipharmhealth.co.kr/mobile/article.html?no=101473
  2. https://www.kslymph.or.kr/file/journal/cll04_02.pdf
  3. https://www.kookje.co.kr/news2011/asp/newsbody.asp?code=0700&key=20240903.22017003156
  4. http://www.bokuennews.com/news/article.html?no=248291
  5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eDEp5XfpI4
  6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GUTrLUkO1VQ
  7. http://www.medworld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45043
  8. https://www.instagram.com/p/DF6jcfPSYab/
  9. https://www.kslymph.or.kr/file/journal/cll06_02.pdf
728x90
반응형
LIST